무더위
아침부터 교실은 후끈거렸다. 요 며칠 장마비가 뜸한 탓이다.
차 안에서 시원한 아침을 맞는가 싶더니 4층으로 등산(?)하면서 다시 전쟁은 시작된 것이다. 더위와의 전쟁...
뉴스를 보니 어제 이 곳의 기온은 32도, 불쾌지수가 무려 80%나 됐다. 오늘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이런 탓이었을까? 일주일에 단 한 번 있는 아침자습, 신문스크랩을 한 아이가 남학생은 고작 3명, 여학생도 절반을 겨우 넘겼다. 더군다나 어제 내 준 사회 숙제를 한 아이는 전체 46명 중에 8명...
아침부터 신경질 내기 싫었다. 더군다나 이렇게 더운 날씨에 아이들한테 목소리 높이는 건 전혀 교육적인 배려가 아닐테고, 그냥 무더위 탓으로 돌리는 게 마음 편할 것 같았다. 아이들도 그걸 원하는 것 같고...
정말 학교라는 곳은 더위에 무한정 노출되어 있다.(겨울에 추위는 어떻고...) 지금처럼 바깥 온도가 30도를 웃돌면 교실 온도는 35도를 훌쩍 넘기기 일쑤다. 작년 이맘때는 온도계를 늘 달아놓았는데 날마다 36도를 맴돌았다. 그런데도 냉방은 손톱만큼도 기대를 못한다. 반 아이들 숫자라도 좀 줄여주면 숨통이라도 트겠지만 모든게 예산과 직결되는 문제라서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도 우리 학교는 복 많이 받은 학교라고 한다. 아직 교실에 선풍기도 한 대 없는 교실이 수두룩하다는데 우리는 교실마다 4대씩이나(!) 있다나...
아이들의 집중력은 무더위 속에서 불 만난 엿가락처럼 고개를 떨군다. 학습 준비도 안되고 막상 수업을 진행하려 해도 산만해서 앞으로 나아가지를 못한다. 게다가 문을 열어놓으니 옆 반에서 들려오는 아이들 목소리와 식당 환풍구 돌아가는 소리 등 각종 소음 때문에 더더욱 산만하다. 천장에 매달린 4대의 선풍기는 돌아가는 소리만 컸지 오히려 아이들 열기를 다시 내려보내기만 한다.
집중력이 떨어지기는 교사도 마찬가지다. 옆반 선생님은 땀이 줄줄 흘러내리는 바람에 자신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를 순간적으로 까먹기도 하고 말이 헛나올 때도 있다고 한다. 나 역시 이렇게 더울 때는 수업할 맛이 뚝 떨어지기는 마찬가지다. 공부시간이 되어도 마음이 안절부절하게 된다. 어떻게 하든 쉬는 시간이 되면 교실을 탈출하여 화장실에서 손에 물이라도 적시는 것이 유일한 위안인 셈이다.
유달리 더위에 약한 나로서는 올여름 무더위에 대한 대책을 세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보름 전 쯤에 교실에 두고 쓸 선풍기를 한 대 샀다. 학교에서는 전기료 많이 든다고 전열기를 넣지 말라고 하지만 '살인적인' 무더위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기 때문에 학교 방침을 거부할 수 밖에 없었다. 이 선풍기 덕에 그나마 오후에 교실에 앉아서 뒷정리라도 할 수 있게 되었으니 얼마나 좋은가?
학교에서 냉방이 되는 곳은 단 3곳. 교무실과 서무실 그리고 교장실이다. 각각의 방에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방들이 가까이 있으면 한 번씩 일보러 가는 척하며 들르기라도 하겠지만 교실이 4층이라 내려갔다 바람 좀 쏘이고 올라오면 다시 땀 범벅이 되기 때문에 잘 내려가지 않는다. 그리고 아이들을 찜통 속에 넣어두고 나만 시원함을 즐기는 것도 올바른 심사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날은 그저 빨리 퇴근해서 시원하게 샤워한뒤 선풍기 앞에 앉아 냉장고에서 갓 꺼낸 수박을 한 조각 물고 마누라와 새콤달콤한 이야기를 나누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만 든다. 물론, 그 전에 무더위를 시원하게 해줄 무서운 귀신이야기를 몇 편 준비해뒀다가 아이들에게 들려줄 계획 정도는 세워둬야겠지. 아니면 등골이 오싹한 공포 비디오 목록이라도 뽑아놓든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