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와 학급문집 만들기
한 해 동안 아이들은 수많은 글을 쓴다. 교과 시간에 쓰는 글이 제일 많을 것이고 다음으로 일기쓰기, 독후감, 갈래별 글도 그 양이 적지 않다. 아이들이 써낸 글 중에는 확인만 하고 지나쳐도 좋은 글이 있는 반면 갈무리해두고 싶은 글도 있다. 학급문집은 아이들이 쓴 글을 보며 갈무리해두고 싶은 마음이 생길 때 만들기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학급문집을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아이들 글을 모아 책으로 엮기까지 절차가 아주 많다. 어쩌면 농부들이 봄에 곡식을 뿌리고 여름 내내 가꾸어서 가을에 수확하는 것만큼이나 힘든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일 년 내내 아이들과 씨름하며 모아둔 글을 한 권의 책으로 만들면 마치 소중한 자식을 얻은 것처럼 기쁘다.
또 문집만들기를 염두에 두게 되면 교과시간에 아이들이 쓰는 글에 좀 더 정성을 기울이게 되고, 글을 중심으로 교사와 아이들, 아이들과 아이들이 서로 생각과 감정을 나눌 수 있어서 훌륭한 학급운영의 한 방편이 된다.
학급문집의 구성 요소
글 |
학급일기, 일기, 서사문, 감상문, 시, 각종 기록문, 수업시간에 쓴 글(소개글, 주장, 면담글, 연극대본, 이야기, 편지, 독후감) |
그림 |
얼굴캐릭터, 캐리커쳐, 만화, 판화, 삽화 |
사진 |
학급행사, 학교행사 사진, 얼굴 사진, 학급단체사진 |
기타 |
주소록, 선생님 글, 학부모 글(가능하면..) |
글 모으기
글 모으기는 일 년 내내 꾸준히 한다. 모은 글의 양이 많으면 학기에 한 번 책으로 묶어 내고, 글의 양이 충분치 않거나 비용, 시간이 모자라면 학년을 마칠 때 내면 된다. 일 년 동안 모으는 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학급일기 : 학급 도움이를 하루에 한 명씩 두고 그 날의 학급일기를 학급일기장에 쓰도록 한다. 학급일기 주제는 도움이가 정하는데 자기가 생각하기에 가장 중요한 일 한 가지를 정하여 쓴다. 교사가 읽어보고 괜찮은 일기가 있으면 읽어주고 느낌을 나누어본다.
◇서사문(생활문) : 놀토가 있는 주말 숙제로 해오도록 한다. 이것만으로는 글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쓰기 시간에 여유가 있을 때 함께 쓰기도 한다. 잘 쓴 글 몇 편을 골라 읽어주면 아이들도 좋아하고 글쓰기 지도도 함께 할 수 있다. 문집에 들어갈 글 가운데 양이 가장 많다.
◇감상문 : 겪었던 일을 중심으로 쓰는 생활문과는 달리 특정한 주제를 주고 글을 쓰는 시간을 갖는다. 예를 들어 시험 전후로 ‘시험’이라는 주제로 글을 쓰게 하면 시험에 관한 아이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아버지’나 ‘어머니’ 처럼 가족 가운데 한 사람에 관하여 쓰는 것도 좋은 감상문이 될 수 있다. 또 일상생활에서 어떤 일을 겪으면서 했던 생각이나 느낌을 잘 살려 쓰면 그것도 훌륭한 감상문이 된다. 이런 글들은 쓰기 시간에 주로 한다.
◇기록문 : 실과 실습을 하거나 중요한 학급행사를 하고난 뒤 감상문을 쓴다. 또 수련회나 수학여행, 소풍 따위의 체험활동을 하고 난 뒤에도 따로 시간을 내어 글을 쓴다.
◇소개글, 주장글, 면담글, 연극대본, 이야기, 편지, 독후감 같은 글은 쓰기 교과 시간에 조금 신경을 써서 쓰게 한 뒤 평가하고 모아둔다.
편집하기
글을 쓸 때마다 (학급)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려두면 여러 모로 편리하다. 올려놓은 글을 갈래별로 모아서 편집한다. 이 때 맞춤법도 손 보고 빼거나 더할 내용을 보충한다. 편집용지는 B5 규격이 적당하나 학급 특성에 맞는 용지를 선택한다.
문집 발간하기
편집이 끝났으면 복사집에 맡긴다. 대개 이틀이나 사흘 정도면 제본이 끝난다. 이 때 제일 큰일은 복사비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300쪽 분량이라면 대개 권당 7000원 내외에서 가격이 결정된다. 개인별로 내도록 한다. 학교에서 문집 발간 비용을 지원해줄 경우 개인이 내야 할 비용은 줄어든다. 참고로 어방초등학교에서는 문집을 내는 반마다 20만원을 지원해준다. 연말에 학교예산을 청구할 때 연구부나 주무 부서에서 미리 예산을 신청하여 승인을 받아두어야 한다.
'삶을가꾸는글쓰기 > 글쓰기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 글쓰기 - 교실일기 쓰기 (0) | 2013.01.30 |
---|---|
학급문집에 그림(캐릭터) 넣기 (0) | 2013.01.30 |
면담하고 글쓰기 지도 (0) | 2013.01.30 |
이야기를 활용한 서사문 쓰기 지도 (0) | 2013.01.30 |
겪은 일 주제 잡을 때 (0) | 2013.01.30 |